지적이며 또 전투적인… ‘건반의 명장’ 로버트 레빈 내한

지적이며 또 전투적인… ‘건반의 명장’ 로버트 레빈 내한

입력 2011-11-21 00:00
수정 2011-11-21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로버트 레빈
로버트 레빈
평소 모습은 학자의 느낌이 강하다. 1968년, 불과 스물한 살에 하버드대를 ‘마그나 쿰 라우데’(Magna Cum Laude·우등졸업)로 끝내더니, 같은 해, 거장 루돌프 제르킨의 추천으로 커티스음악원 이론과 주임교수가 됐다. 하지만 막상 연주를 들어보면 생각이 바뀐다. 건반 위에서 그는 전투적이다 싶을 만큼 열정적인 연주를 펼쳐낸다. “징그러울 정도로 음악에 대한 아이디어가 풍부하고, 기계적이거나 판에 박힌 연주를 언제나 비판하면서 자기 자신의 생각과 상상력을 불어넣는 연주자”라는 피아니스트 이대욱(한양대 교수)의 설명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최고의 이론가인 동시에 실전에도 탁월한 피아니스트 로버트 레빈(64·하버드대 교수)이 3년 만에 한국 관객과 만난다.

21일과 23일 서울 중구 순화동 호암아트홀에 서는데, 프로그램이 흥미롭다. 첫날은 오롯이 바흐다. 영국모음곡 2번과 6번, ‘푸가의 기법’ 중 4개의 캐논, 이탈리아 협주곡을 선보인다. 둘째날은 그의 필살기로 꾸며진다. 모차르트 피아노소나타 K.330과 K.576, 베토벤 피아노소나타 16번과 28번을 들려준다. 레빈은 “좋아하는 작곡가 취향대로 하루만 선택해서 봐도 무방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이틀을 모두 들어야 완성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공연의 화두는 ‘대조’(contrast)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만~5만원. 1577~5266.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11-2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