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해외문화원 규모차 확연 16곳 현지어 한국도서 10%뿐
헝가리 부다페스트 시내에 위치한 일본 문화원은 평일이라 그런지 직원들을 빼고는 한적했다. 공간이 그리 넓지는 않았지만 일본 관련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도서관처럼 꾸며 놓았다. 책꽂이에는 일본 언어와 역사를 비롯해 각종 만화책들이 빼곡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책꽂이 한쪽을 가득 메우고 있는 헝가리어로 돼 있는 책들이라는 점이었다.
헝가리인 직원에게 헝가리어로 된 일본 관련 책이 얼마나 되는지 물어봤다. “200권이 넘는다.”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헝가리어로 된 한국 관련 책은 현재 15권이 안 된다.
해외문화홍보원이 올해 초 발간한 ‘재외 한국문화원 현황’에 따르면 한국문화원은 지난해까지 설립된 16곳을 통틀어 현지어 도서 비율이 10.7%에 불과하다. 그나마 비영어권은 더 열악하다. 영국과 미국에 소재한 문화원을 제외한 12곳 평균은 7.0%에 그친다. 역사적 요인으로 번역본이 상대적으로 많은 일본까지 빼면 3.9%로 떨어진다. 베트남, 카자흐스탄, 나이지리아는 아예 한 권도 없고, 폴란드도 0.6%뿐이다. 심지어 교역량 1위를 차지하는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한국문화원도 중국어 도서 비중은 각각 4%와 2%여서 충격을 더한다.
프랑스 주재 일본문화원의 경우 전체 인력은 30명이 넘고 이 가운데 3분의1이 현지 채용이다. 반면 인근에 위치한 한국문화원은 원장 포함 8명(현지인 5명)만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본문화원 원장실은 창문 너머로 에펠탑이 한눈에 보이지만 한국문화원장실은 지하 1층에 그것도 물건이 잔뜩 쌓인 복도 끝에 위치해 있다는 것도 굳이 비교하자면 엄청난 차이였다.
일본국제교류기금 한국 사무소 혼다 오사무 소장은 “한국 소설을 외국에 소개하려면 해외 한국문학전공자와 좋은 번역자가 필요하다.”면서 “조급증을 버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한국의 장점은 변화에 역동적으로 대응한다는 점이나 때론 (정책도) 서둘러 바꾸려 하다 보니 문화 외교가 꽃피기 전에 지는 경우가 많다.”고 꼬집었다.
2011-08-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