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재배~가공 ‘책임생산’ 웰빙 소비자 사로잡아

[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재배~가공 ‘책임생산’ 웰빙 소비자 사로잡아

입력 2015-03-20 00:30
수정 2015-03-20 0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산 몰아내는 국산 고추의 힘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주부들을 대상으로 중국 농산물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8%가 안전성과 품질을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을 위해 먹거리의 안전성을 꼼꼼히 따지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싼 중국산에 밀렸던 국산 고추가 최근 다시 우리 식탁에 오르고 있다.

특히 중국산 고추를 관행적으로 썼던 식품·외식 업계에서 우리 고추를 이용하는 업체가 점점 늘고 있다. 건강한 음식을 찾는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추고 음식맛을 높이는 데 국산 고추가 딱이기 때문이다.

원가 절감을 위해 중국산 고추를 썼던 식품 업계는 고추장 생산 업체들을 필두로 점차 국산 고추로 돌아서고 있다. 농협 등 전국 판매망을 가진 김치 생산 업체들도 중국산 고추 사용 비율을 낮추는 추세다. 불닭발, 부대찌개 등 일부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창업할 때부터 국산 농산물을 쓰는 마케팅으로 시장에서 자리를 잡았다. 직접 산지에서 고추 등 농산물을 사는 회사도 늘고 있다. 국내 외식산업은 찜닭, 해물찜·탕, 볶음, 찌개 등 매운맛의 메뉴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어 국산 고추 선호도는 더 증가할 전망이다.

국산 고추의 품질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충북 음성·괴산, 경북 안동 등 고추 주산지에서는 고추 전용 산지유통센터(APC)를 세우고 자체 브랜드로 고춧가루를 만들어 팔고 있다. 이물질이나 병든 고추가 들어가는 일을 막고 고춧가루를 균일하게 만드는 기술이 향상돼 농민들이 건고추보다 높은 가격을 받고 고춧가루를 팔아 농가 소득에도 큰 도움이 된다.

경북 영양은 영양고추유통공사를 설립해 재배, 건조, 고춧가루 가공, 포장 등을 모두 군 내에서 해결한다. 경북 봉화에서는 고추종합처리장을 설치해 공동 브랜드인 ‘파인토피아 봉화’라는 이름으로 대도시에 직거래 장터를 운영하고 있다. 경남 밀양의 무안농협은 ‘맛나향 고추’라는 이름으로 연간 35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한편 매운맛의 대명사인 ‘청양고추’에는 국민들이 알지 못하는 비밀이 있다. 충남 청양에서 생산한 고추라고 아는 소비자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는 청양고추는 품종의 하나다.

1983년 중앙종묘에서 개발한 품종인 청양고추는 식품회사에서 요청한 캡사이신 추출용 고추였다.

하지만 시범 재배한 농민들에 의해 풋고추로 다시 태어났다. 청양이라는 이름은 풋고추로 먹을 때 매운맛을 더 느낄 수 있는 이 품종의 가능성을 알아낸 경북 청송과 영양 지역의 농민들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두 지역의 이름 앞뒤 글자를 따서 지어졌다.
2015-03-2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