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수행평가 개선안 발표
학기 시작 전 평가 계획 미리 점검
교육부가 2학기부터 모든 중·고등학교 수행평가가 수업안에서 이뤄지도록 운영방식을 바꾼다고 2일 밝혔다. 수행평가가 많게는 한 학기에 수십건에 육박해 부모나 사교육에 의존한다는 비판이 나오자 학생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취지다.이날 교육부가 발표한 수행평가 개선안에는 ▲모든 수행평가는 수업 시간 내 이뤄진다는 원칙을 적용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해 학습 부담 유발 요인을 개선 ▲시도교육청은 학기 시작 전 모든 학교의 평가 계획을 면밀하게 점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교육부는 부모의 도움 등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큰 과제형 수행평가나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가 운영되지 않게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7~8월 중 시도교육청별로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행평가의 도입 취지, 평가 운영 관련 규정과 유의 사항을 안내하기로 했다. 아울러 시도교육청과 협의해 수행평가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개선 요구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관련 지침을 개정하기로 했다.
교육부가 이런 개편 방안을 낸 건 최근 수행평가의 시행 횟수가 많거나 특정 시기에 집중되면서 학습 부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기 때문이다. 1999년 도입된 수행평가의 목적은 암기 위주 지필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고차원적 사고력 발달을 지원하는 것인데, 부모나 학원에 의존하면서 취지가 퇴색됐다는 것이다.
지난달 20일 국회 국민청원에는 “수행평가로 수면 부족, 사교육 의존, 교육 불평등이 심화하고 있다”며 전면 재검토 해달라는 청원이 올라와 2만 6000여명의 동의를 얻기도 했다.
2025-07-0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