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 징계 철회’ 재판 변수…무고한 선수 피해 등 고민
러시아 선수단이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을지 알려면 조금 더 기다려야 한다.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19일(현지시간) 전화로 긴급 집행위원회를 열어 정부가 조직적으로 도핑(금지약물 복용)을 부추기고 은폐한 러시아 선수단 전체의 리우올림픽 출전을 막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집행위는 이날 성명을 내 육상과 역도 등 30개 종목에서 광범위하게 도핑 사례가 확인된 만큼 러시아 선수단을 통째로 출전 금지하는 것이 타당한지 법률 검토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IOC가 고민하는 것은 국가가 잘못한 일의 책임을 무고한 선수들에게까지 물을 수 있느냐는 것과 올림픽 운동의 분열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21일로 예정된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의 결정을 지켜보고 결론을 내리겠다는 계산도 작용했다.
CAS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은 선수들의 출전까지 막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며 러시아육상경기연맹(ARAF)이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의 출전 금지를 철회해 달라고 요구한 것에 대한 판단을 내린다.
AP통신은 “만일 CAS가 IAAF의 손을 들어주면 IOC는 다른 종목에서도 러시아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을 불허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내다봤다.
IOC가 각 종목 국제경기단체에 공을 떠넘길 가능성도 없지 않다. IAAF처럼 국제역도연맹(IWF)도 지난달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선수들의 리우 출전을 금지했다.
이와 관련, 하계올림픽 종목 국제경기단체연합(ASOIF)이 세계반도핑기구(WADA)에 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달라고 요청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선수가 잘못을 저질렀다는 증거가 있어야만 WADA 규약과 올림픽 헌장을 준수하면서 제재할 수 있다는 취지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6-07-2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